본문 바로가기

DB

DBMS [수업]

DBMS(DataBase Management System)

 

 ▶기본 기능

   -데이터 구조의 정의 기능

   -데이터의 삽입, 삭제, 수정 기능

   -질의 조회 기능

   -DB 관리 기능-사용자 추가, 성능 관리 등

 

 ▶표준 언어를 지원

   -DDL(data definition lang.): 데이터 구조를 정의

   -DML(data manipulation lang.): 삽입, 삭제, 수정, 조회 표현

   -DCL(data control lang.): 관리 기능

    

 ▶유형

  -관계형: 관계형 데이터 모델 사용

  -계층형

  -네트워크형

  -객체 지향: OO 개념을 지원

  -BigData, NoSQL 등

 

 ▶정의

  -Database + DBMS + [ 응용 프로그램 + 사용자 ]

 

▶핵심 구성 요소

 -데이터

  : 테이블 행들의 집합

 

  : 실제 테이블들의 행들이 저장됨

 

 -메타데이터(meta data=data about data)

 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 정의

   ex) 학생 테이블의 데이터 항목의 이름, 타입 등

 

  : 논리적 구조, 물리적 구조, 접근 경로를 명시

 

  : SQL 표준에는 infromation schema라고 정의

 

  : 실제로는 메타 데이터도 데이터처럼 저장됨

 

 

 ▶사용자

  -최종 사용자(end user)

  : 대부분의 사용자, SQL문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

  

  -데이터베이스 설계자(DB designer)

   

  -응용 프로그램 개발자

   : 설계된 DB를 기초로 사용자의 기능적 요구 사항을 구현

    ex) 웹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수강 신청 프로그램 구현

 

  -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

   :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운영, 관리

 

 

▶데이터 관리 방법

 -파일 시스템 사용 (전통적인 관리방법)

  : OS 상의 파일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조회

 

  : 파일을 생성, 관리할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

 

  : 메타데이터가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종속

   

  : 데이터의 중복 발생 가능

 

 

 -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사용

  : 상용 DBMS를 통한 관리

  

  : DBMS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함으로 편리

 

 

 

 ▶특징

  -다수의 사용자 동시적 접근

   : 동시성 제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

  -데이터의 안정적 관리

   

 

 

 

 

 

 

데이터 모델

 

 ▶정의

  -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개념들의 집합

 

 ▶추상화 수준에 따른 분류

  -개념적 데이터 모델

   : 사용자 입장에서 정의된 모델

    ex) E-R 데이터 모델

 

  -논리적 데이터 모델

   : 사용 DBMS에서 지원하는 모델

    ex) 관계형 모델

 

  -물리적 데이터 모델

   : 물리적 저장 방법을 기술

 

 ▶데이터 표현 형식에 따른 분류

  -관계형 데이터 모델

  -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

  -계층형 데이터 모델

  -네트워크 데이터 모델

 

 

 

스키마와 인스턴스

 

▶스키마

  -메타 데이터의 또 다른 말로 설계 과정에서 정의

  -데이터 구조 및 제약 조건들까지 포함

  -자주 변경되지 않는 특성

  -종종 스키마 다이어그램으로 표현

 

 

 ▶인스턴스

  -스키마에 대한 실제 데이터, 테이블의 각 행을 의미

  -시간에 따라 자주 변경이 이루어짐

  -이들 인스턴스들의 집합 = 데이터베이스 상태(state)

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MYSQL 접속

workbench를 이용해서 접속해도 되지만 mysql command-line client를 이용해서 접속하는 방법도 알고있어야 한다.

일단 mysql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

mysql -u root -p

여기서 -u root는 --user "유저명", -p는 --password를 의미한다.

enter password 창에 비밀번호를 그대로 쳐주면 mysql서버에 접속가능하다. 

이러면 실행환경 완성.
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ransaction [수업]  (0) 2021.04.09